올해는 최저시급이 얼마나 올랐을까? 이번에 인상된 최저임금은 월급으로 얼마일까?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사업주들도 최저임금 변동에 관심이 많아요. 이번 글에서는 최저시급의 뜻부터 인상 기준, 연도별 최저시급 인상률, 월급 계산법까지 한꺼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 최저시급 뜻
❚ 최저시급 인상 기준
❚ 연도별 최저시급 인상률
❚ 2025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법
❚ 맺음말
❚ 최저시급 뜻
최저시급이란 근로자가 시간당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임금을 말해요. 이 제도는 저임금 노동자들의 기본 생활을 보장하고, 불합리한 임금 착취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입된 거예요. 우리나라에서는 최저임금법에 따라 매년 최저시급이 정해지는데, 최저시급은 고용노동부 산하의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합니다.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minimumwage.go.kr/main.do)
더 알아두기!
✅ 최저시급은 근로자 1명 이상인 모든 사업장에 적용됨
✅ 근로자는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함
✅ 근로자의 종류는 근로 시간에 따라 상용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초단시간 근로자, 일용근로자(알바, part time)로 나뉠 수 있음
❚ 최저시급 인상 기준
최저시급은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중요한 부분이므로, 매년 변화하는 최저임금의 인상 기준을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1. 물가상승률
생활물가가 오를 경우, 근로자들이 구매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저시급도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요.
2. 경제성장률
경제가 성장할 경우, 기업 이익이 늘어나고 근로자 임금도 함께 오르도록 정책이 반영됩니다.
3. 근로자 생계비
한 달 동안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기준으로 인상폭이 결정되어요.
4. 노사 합의
최저임금위원회의 근로자 대표, 사용자 대표, 그리고 공익위원들이 함께 논의해 금액을 최종적으로 결정해요.
❚ 연도별 최저시급 인상률 (2006~2025년)
최근 20년간 최저임금이 어떻게 변동되었는지 아래 표에서 확인해 보세요. 2018년에는 16.4%라는 높은 인상률을 기록하며 화제가 되었고, 최근 몇 년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상률을 보이고 있어요.
연도 | 최저시급(원) | 인상률 |
2006 | 3,100 | 9.2% |
2007 | 3,480 | 12.3% |
2008 | 3,770 | 8.3% |
2009 | 4,000 | 6.1% |
2010 | 4,110 | 2.8% |
2011 | 4,320 | 5.1% |
2012 | 4,580 | 6.0% |
2013 | 4,860 | 6.1% |
2014 | 5,210 | 7.2% |
2015 | 5,580 | 7.1% |
2016 | 6,030 | 8.1% |
2017 | 6,470 | 7.3% |
2018 | 7,530 | 16.4% |
2019 | 8,350 | 10.9% |
2020 | 8,590 | 2.9% |
2021 | 8,720 | 1.5% |
2022 | 9,160 | 5.1% |
2023 | 9,620 | 5.0% |
2024 | 9,860 | 2.5% |
2025 | 10,030 | 1.7% |
더 알아두기!
✅ 최저임금은 많은 사람들의 생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최저임금 인상률이 높으면 생활 수준이 향상될 수 있음
✅ 반대로 최저임금 인상률이 낮으면 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음
✅ 사업주 입장에서는 인건비 증가가 사업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
✅ 최저시급 인상 여부와 속도는 종종 정치적 이슈가 되기도 함
❚ 2025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법
올해 최저임금 10,030원을 기준으로, 주 5일(하루 8시간) 근무를 하는 경우 월급은 아래와 같아요.
시급 | 2025년 최저임금 | 10,030원 |
일급 | 최저시급 × 일 8시간 | 80,240원 |
주급 | 최저시급 × 주 40시간 | 401,200원 |
월급 | 최저시급 × 월 209시간 (주휴수당 포함) |
2,096,270원 |
❚ 맺음말
최저시급 인상률은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와 정치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최저임금 제도의 목적과 인상 기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도별 최저시급 변화를 살피고, 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관련글 더보기
주휴수당 조건 & 계산법 & 계산기 (feat. 소정근로시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요? 주휴수당 줘야 하나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고, 사업주는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어요. 알쏭달쏭한 주휴수당 조건들을 명확하게 정리하
clarastory.tistory.com
2025년 중위소득 & 최저생계비 (feat. 생활비 항목)
저희는 4인 가족이고, 평소에 절약하며 꼭 필요한 소비만 하는 중인데, 통장에서 몇백만 원씩 빠져나가는 게 너무 이상한 거예요. 뭐가 잘못됐나 의심스러워 2024년 11월부터 가계부를 적기 시작
clarastory.tistory.com
4인가족 한달 생활비 - 최저생계비, 중위소득, 평균 지출 금액까지!
생활비는 일상적인 삶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돈이에요. 생활비가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개인이나 가정의 재정적 여유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결정도 영향을 받게 되어요.
clarastory.tistory.com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휴수당 조건 & 계산법 & 계산기 (feat. 소정근로시간) (10) | 2025.03.24 |
---|---|
연도별 금시세 & 전망: 2015~2025년 금값 변화와 투자 방법 (28) | 2025.03.22 |
티스토리 썸네일 이미지를 정성껏 골랐더니...! (25) | 2025.03.19 |
애드센스 승인 후 자동광고 설정 방법 (feat. 꿀팁 3가지) (35) | 2025.03.17 |
애드센스 승인 거절 해결! 사이트가 다운되었거나 사용할 수 없음 (경험담) (50) | 2025.03.15 |